신범철 국방차관.(자료 사진=연합뉴스)
신범철 국방차관.(자료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오동준 기자] 신범철 국방부 차관이 지난 2018년 12월 발생했던 한국 광개토왕함의 일본 초계기 조사 여부를 둘러싼 갈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해결할 의사가 있다”는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신 차관은 2일 보도된 일본 마이니치신문(每日新聞)과 인터뷰에서 “공식적으로 광개토대왕함의 일본 초계기를 향한 사격통제는 없었다는 게 우리 입장”이라면서도 “양국 관계 개선과 국방 협력 관점에서”라며 이같이 말했다.

일본은 지난 2018년 12월 한국 광개토대왕함이 일본 초계기 사격통제 레이더에 조사(照射)했다고 주장하며 공개한 동영상 일부. (자료 사진=연합뉴스TV 화면 촬영)
일본은 지난 2018년 12월 한국 광개토대왕함이 일본 초계기 사격통제 레이더에 조사(照射)했다고 주장하며 공개한 동영상 일부. (자료 사진=연합뉴스TV 화면 촬영)

한일간 이 갈등은 지난 2018년 12월 20일 동해에서 조난당한 북한 어선을 수색 중이던 해군의 광개토대왕함이 함정 근처를 비행하던 일본 해상자위대 P1 초계기를 향해 사격통제 레이더를 조사했다고 일본 측이 주장하고 우리 측이 이를 부인하면서 일어났다.

일본 측은 당시 자국 초계기 내부에서 촬영한 관련 동영상을 그 증거라며 공개했으나, 한국은 레이더 조사는 없었고 오히려 초계기가 광개토대왕함 근처에서 저공 위협 비행을 했다고 맞섰다.

한국군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한일관계에 관한 원론적인 말을 한 것으로 이해한다”며 “그러한 필요성에 관해 양국 간에 필요한 기관 또는 관계자들이 논의하고 있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신 차관은 이와 관련 문재인 정부 시절 한국 함정 인근에서 저공 비행하는 일본 초계기에 대해 레이더를 조사할 수 있다는 지침이 만들어졌다는 한국 언론의 보도에 대해 “지침은 아니지만 문 정부는 일본에 대해서만 추가 절차를 실시했다”며 “적절한지 의문”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신 차관은 이어 오는 11월 일본에서 개최되는 일본 해상자위대 창설 70주년 국제관함식에 한국 해군이 참가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과거 관행을 참고하면서 고민하고 있다”고 참가 여부에 대해 검토 중임을 밝혔다.

일본 해상자위대 군함들은 국기인 일장기 대신 과거 제국주의 시절부터 욱일기(旭日旗)를 내걸고 있어 이런 행사에 우리 해군이 참석하는 게 부적절하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욱일기는 태평양 전쟁이 끝나면서 전범국의 상징으로 국제적으로 규탄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일본 제국주의 시절 직접적인 피해자인 한국은 그동안 극도의 거부감을 나타냈다.

욱일기를 단 일본 함대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사열하는 행사에 우리 해군이 참석하는 것은 국민 정서에 반한다는 비판이다.

박근혜 정부 때인 지난 2015년 10월 해군 대조영함이 일본 관함식에 참석했으나 당시 아베 신조 총리가 승선한 구라마함에 내걸린 욱일기 문제로 국내에서 논란이 된바 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