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조구현 기자] 정부가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일본 초계기의 위협 비행 사건에 따른 한일 갈등 해결을 기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16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일본 초계기 위협 비행 사건에 대한 군의 입장변화 여부 질문에 “강제징용 문제와 무관한 사안이지만 향후 한일 간 신뢰관계 회복을 고려해 바람직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강제징용 해법 발표로 한일관계 복원 움직임이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초계기 갈등 관련 “해결방안 모색”을 언급하며 미묘한 태도 변화를 보인 것이다.
일본 초계기 위협 비행 사건에 따른 한일 갈등은 지난 2018년 12월 20일 일본 해상자위대 P1 초계기가 한국 해군 광개토대왕함 근처에서 저공 위협 비행을 하면서 불거졌다.
당시 동해에서 조난한 북한 어선을 수색 중이던 한국 광개토대왕함이 함정 근처를 비행하던 일본 P1 초계기를 향해 사격통제 레이더를 조사했다고 일본 측이 주장하고 우리 측은 이를 부인하면서 양측이 지금까지 평행선을 달려왔다.
일본 측은 한국 측의 레이더 조사 증거라며 자국 초계기 내부에서 촬영한 동영상을 공개했으나, 한국은 레이더 조사는 없었고 오히려 초계기가 광개토대왕함 근처에서 저공 위협 비행을 했다고 반박해왔다.
우리 군은 지난 6일 외교부에서 강제징용 해법을 발표한 뒤에도 ‘초계기 갈등’은 이와 무관하다는 입장을 유지해왔으나, 이번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앞두고 미묘하게 달라진 분위기가 감지된다.
국방부는 지난해에도 초계기 갈등을 “포괄적으로 해결할 의사가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신범철 차관은 지난해 9월 2일 보도된 일본 마이니치신문(每日新聞)과 인터뷰에서 “공식적으로 광개토대왕함의 일본 초계기를 향한 사격통제는 없었다는 게 우리 입장”이라면서도 “양국 관계 개선과 국방 협력 관점에서” 해결할 뜻이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