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방신문=윤석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 무인기 침투 사건에 대응해 “드론부대 설치를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27일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어제 북한의 군용무인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했다”며 “북한의 선의와 군사합의에만 의존한 대북정책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국민들께서 잘 보셨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와 관련 “북한의 주요 군사시설을 감시 정찰할 드론부대 창설을 계획하고 있었다”며 “최첨단으로 드론을 스텔스화해서 감시정찰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지난 2017년부터 전혀 이런 드론에 대한 대응 노력과 훈련, 전력 구축이 제대로 되지 않고, 훈련이 전무했다”고 문재인 정부의 안보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난 수년간 군의 대비태세와 훈련이 대단히 부족했음을 보여주고, 더 강도 높은 대비태세와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여실히 확인해준 사건이었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또 지난 24일 확정된 내년 예산에 반영된 드론 관련 예산에 대해 “안타까운 것은 군용 무인기 도발에 대한 내년도 대응 전력 예산이 국회에서 50%나 삭감됐다”며 국회도 겨냥했다.

그러면서 “새해 국회를 다시 설득해 이런 전력 예산을 증액해 국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예산과 전력을 확충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