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양기반 기자] 북한과 같은 적 무인기에 대응할 육군과 공군의 전력이 한 자리에 모인 합동방공훈련이 29일 경기도 양평군 가납리 일대에서 펼쳐졌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김승겸 합참의장 주관으로 2m급 소형 무인기 대응 작전 개념을 정립하고, 실전적 작전수행 절차 숙달을 위한 적 소형무인기 대응 및 격멸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훈련에는 육군 지상작전사령부와 항공사령부 그리고 각 군단, 공군에서는 작전사령부 등이 참가했다.
이날 훈련에는 공군 KA-1 전술통제기와 아파치·코브라 공격헬기 등 20여 대의 유·무인 항공기가 투입됐다.
이번 훈련은 적 무인기가 공중 침투하는 다양한 상황을 가정해 탐지, 식별 후 추적해 요격하는 비사격 방식으로 진행됐다.
KA-1 전술통제기가 적 무인기를 육안 식별하면 GOP(일반 전초) 후방 지역에서는 아파치 헬기가 실제 사격하기 직전까지 절차를 숙달시키는 내용이었다.
지난 26일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 때처럼 민가 피해를 고려해 격추작전이 제한되는 상황을 고려해 민가 지역으로 적 무인기가 침투했다고 가정해 500MD 헬기에 장착한 드론건(재머)으로 타격하는 절차 숙달 훈련도 실시됐다.
드론건은 시험용으로 도입한 상태로 아직 군 내 전력화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날 훈련에서 20㎜ 발칸포와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천마’ 등 지상 대공무기의 대드론 운용성을 높이는 훈련도 포함됐다.
합참은 “이번 훈련을 실시한 결과 확인된 문제점을 보완하고 각 부대·기능별 임무수행 절차를 숙달해 북한 공중위협 대응 태세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