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남쪽 답방은 남북 간에 합의된 사항”이라며 “그래서 언젠가 이뤄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언제 어디서든 김 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고, 그렇게 남북 정상 간에 만남이 지속되고 더 신뢰가 쌓이게 되면 언젠가 답방도 이뤄지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면서 이같이 언급했다.

이어 “그러나 꼭 김 위원장의 답방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임기 내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올해 집권 5년차이기 때문에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서두를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성급하게 생각하지 않고 서두르지 않으면서 최선을 다해서 남북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면 꼭 해 보고 싶은 일이다. 그냥 만나는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뭔가 성과를 낼 수 있다면 언제든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김 위원장의 평화에 대한 의지, 대화에 대한 의지, 비핵화에 대한 의지는 분명히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북한이 요구하는 것은 그 대신에 미국으로부터 확실하게 체제의 안전을 보장받고 미국과의 관계가 정상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큰 원칙에 대해서는 이미 북미 간의 싱가포르 1차 정상회담 때 공동선언으로 합의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제는 합의된 원칙들을 어떻게 구체적·단계적으로 이행해나갈 것인가라는 점에 대해서 합의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하노이 정상회담이 불발로 그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또 “미국의 바이든 신행정부는 톱다운(하향식) 보다는 보텀업(상향식) 방식의 회담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싱가포르 선언에서 합의된 원칙을 구체화시키는 방안에 대해서 북미 간에 좀 더 속도감 있고 긴밀하게 대화를 해 나간다면 충분히 해법을 찾을 수 있는 문제”라며 “그 해법을 찾을 수 있도록 한국도 최선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종전선언과 관련해서는 “우리가 이루어야 하는 진정한 목표가 한편으로는 비핵화이고, 그다음 비핵화가 완전히 실현된다면 그때는 북미 또는 남북 간의, 또는 3자 간의 평화협정 체결을 통해 평화가 완전히 구축되면서 북미 관계가 정상화되는 그런 과정”이라면서 “이런 비핵화라는 대화 과정에 있어서나 평화협정으로 가는 평화구축의 대화 과정에 있어서나, 굉장히 중요한 모멘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바이든 정부가 취임하게 되면 다양한 소통을 통해서 우리의 구상을 미국 측에 설명하고, 또 설득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대해서도 문 대통령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대화가 성공적으로 타결되면 다 함께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핵을 증강한다든지, 여러 가지 무기체계를 더하겠다는 부분도 결국 이런 비핵화와 평화구축 회담이 아직 타결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다만 “북한의 무기체계가 증강되는 부분에 대해선 한미 정보당국이 늘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다”며 “한국은 충분한 핵·미사일 방어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에 취임한 2017년 한반도 상황을 생각하면 전쟁의 먹구름이 가득 덮고 있다고 할 정도로 평화가 위협받는 상황이었다”며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서 지금까지 평화를 잘 유지해 온 것은 큰 보람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남북 간 판문점선언이나 평양선언 등을 통해서 크게 발전시킬 수 있었는데, 그 이상 더 나아가지 못하고 그 단계에서 멈춘 것이 매우 아쉽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