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국방부는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가시화된 의료대란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인 외래진료 확대와 군의관의 공공병원 파견을 적극 추진한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한 반발한 전공의 등 의사들의 집단 사직으로 발생한 의료대란 완화를 위해 지난달 20일 12개 군 병원 응급실을 민간에 개방한 데 이어 추가 대응책 검토에 나선 것이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4일 언론브리핑에서 “(군 병원의) 외래 진료를 확대하거나 군의관을 (공공병원에) 파견하는 부분에 대해 관련 부처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의사들의 집단행동과 그로 인해 환자들이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피해가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다.
정부가 제시한 복귀 시한을 지나서도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는 가운데 인턴, 전임의들까지 이탈하면서 응급실에서 응급진료를 중단하는 등 의료대란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한편, 국방부에 따르면 정부의 의대 증원 계획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의료현장 이탈 대응책으로 지난 2월 20일 군 병원 응급실을 개방한 이후 4일 오전 현재 총 123명의 민간인 환자가 군 의료시설을 이용했다.
군 병원별 진료 민간인 누적 인원은 국군수도병원이 57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전병원 26명, 서울지구병원 8명, 고양병원 6명 순이었다.
정부가 민간에 개방한 군 병원 응급실은 모두 12곳으로 국군의무사령부 산하 국군강릉병원, 국군춘천병원, 국군홍천병원, 국군고양병원, 국군양주병원, 국군포천병원, 국군서울지구병원, 국군수도병원, 국군대전병원과 해군 산하인 경남 창원 해군해양의료원·해군포항병원, 공군 산하 충북 청주 공군항공우주의료원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