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 외교·개발장관회의 참석차 영국을 방문 중인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왼쪽부터)이 5일 오후(한국시간) 런던 시내 한 호텔에서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미국의 새로운 대북정책에 대한 공조를 강화키로 했다.
주요 7개국(G7) 외교·개발장관회의 참석차 영국을 방문 중인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왼쪽부터)이 5일 오후(한국시간) 런던 시내 한 호텔에서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미국의 새로운 대북정책에 대한 공조를 강화키로 했다.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한국과 미국, 일본이 조 바이든 미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5일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미국의 새로운 대북정책에 관해 공조를 강화키로 했다.

또 한일은 별도 외교장관 회담에서 북핵 문제 협력과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그러나 한국 법원의 강제 징용·위안부 배상 판결,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등에 대해서는 극명한 입장 차를 드러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은 이날 오전 런던 시내 호텔에서 약 50분간 회담하고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3국 간 협력 방안과 역내 정세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주요 7개국(G7) 외교·개발장관회의 참석차 런던을 방문 중인 한미일 장관들의 회동은 미국 측 제안으로 성사됐다.

외교부는 회담 후 보도자료를 통해 한미일 외교장관이 북한·북핵 문제와 관련해 그동안 3국이 긴밀히 소통해 온 점을 평가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 공조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 결과를 한일 양측에 설명했고, 세 장관은 향후 대북정책 추진 과정에서도 계속 긴밀히 소통·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3국 장관은 또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역내 평화·안보·번영을 증진시키기 위한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지속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블링컨 장관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유엔 안보리 결의들을 완전히 이행할 필요성에 대해 한일 외교장관과 의견을 같이했다고 미 국무부 대변인이 전했다.

블링컨 장관은 한미일 회동에 앞서 3일 일본, 한국과 각각 양자회담을 하고 새로운 대북정책을 공유했다.

미국의 새 대북정책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실용적이고 조정된 접근을 통해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는 것이 골자다.

회담에 참석한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이 검토를 마친 새로운 대북정책을 차질 없이 이행해 북한을 대화 테이블에 앉히는 방안이 논의됐고 중국 등 다른 이슈는 거론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은 작년 2월 독일 뮌헨안보회의 때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 마이크 폼페이오 전 미 국무장관, 모테기 외무상이 회동한 이후 약 1년 3개월 만이다.

정 장관은 2월 취임 후 처음으로 이날 한미일 회담에서 모테기 외무상을 공식 대면했다.

정 장관과 모테기 외무상은 이날 회담 직후 다른 방으로 장소를 옮겨 약 20분간 양자 회담을 가졌다.

두 장관은 공통 관심사인 북핵 문제에는 협력하기로 했지만, 주요 갈등 현안인 한국 법원의 징용 및 위안부 배상 판결,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대해서는 큰 입장차를 드러냈다.

외교부는 “두 장관은 한일이 동북아 및 세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필요성에 공감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서도 지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일본의 오염수 방류 결정이 주변국과 충분한 사전협의 없이 이뤄진 데 대해 깊은 우려와 함께 반대 입장을 전달했다.

오염수 방류가 한국 국민의 건강과 안전, 해양 환경에 잠재적인 위협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에 모테기 외무상은 오염수 방류 결정을 비판하는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해 우려 입장을 표명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