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전바울 전문기자] 30일 오후 서울·인천·경기·강원·충남·경남 등 전국 곳곳에서 목격돼 국민을 불안에 떨게 했던 ‘미확인 비행체’의 정체는 우리 군이 비행 시험을 한 고체추진 우주발사체로 밝혀졌다.
이날 6시 10분쯤 전국 하늘 곳곳에서 불꽃을 내며 솟구치는 정체불명의 비행체에 놀란 시민들은 이를 촬영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으로 공유하며 “UFO 같다” “전쟁 난 것 아니야?”라며 불안과 공포감을 드러냈다.
전국 경찰서에 시민들의 신고·문의 전화가 빗발치고 SNS에서 혼란이 커지며 불안감이 가중됐다.
이런 상황이 되자 국방부가 부랴부랴 이날 저녁 6시 45분께 대변인실을 통해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비행이었으며 성공적이었다”고 밝혔다.
국방부 대변인실은 “비행시험 전 발사 경로와 관련 있는 영공 및 해상안전에 대한 조치를 하였으나, 군사보안상의 문제로 인해 모든 국민들께 사전 보고드리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방부 장관과 국가안보실 등 기밀을 다루는 부서는 이날 비행시험을 알고 있었지만 비밀사업이라 국방부 대변인을 포함한 실무자는 아무도 알지 못했다. 비밀사업이다 보니 사전에 기자들에게 공지못했다”고 해명했다.
‘국민의 알권리’를 무시한 채 이날 시험비행이 진행된 ‘미확인 비행체’는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쏘아 올린 고체추진 우주발사체였다고 국방부는 확인했다.
국방부는 이날 우주발사체 비행 시험을 사전에 출입기자들에게도 알리지 않았고, 발사 이후에도 발사 시간과 장소, 발사 사진·영상 등을 전혀 제공하지 않았다.
지난 26일 북한 무인기 수도권 상공 침범 이후 군사 긴장이 고조되고 윤석열 대통령이 강력 응징, 확전, 전쟁 준비 등의 용어를 동원해 대북 경고를 한 상황에서,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발사가 예고 없이 이뤄지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확대됐다.
군사보안상 ‘비밀사업’이라는 이유로 이날 비밀리에 진행된 시험비행은 지난 3월 30일 시험발사 때 한 달 전인 2월 22일 대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당시 문재인 정부에서 서욱 국방부 장관 주재로 제2회 국방과학기술위원회를 열어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첫 시험발사를 3월에 실시한다고 공개한 것과 대조된다.
지난 3월 시험발사에선 대형 고체 추진기관(엔진), 페어링 분리, 단 분리, 상단부 자세제어 기술 검증을 실시한 바 있다.
지난 3월 30일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 추진 비행 시험에 처음 성공했다고 밝힌 지 9개월 만에 진행된 이날 2차 시험에선 추가 기술 검증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2차 시험 성공은 과거 고체연료 기반 발사체 사용을 제한해온 ‘한·미 미사일 지침’이 지난해 5월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종료되면서 국방부와 국방과학연구소는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개발에 속도를 더하고 있다.
고체추진 우주발사체는 액체추진 방식보다 경제적이고 신속하게 인공위성들을 지구 저궤도로 쏘아 올리는 데 필요한 핵심기술이다. 이를 활용하면 위성을 활용하는 우주산업의 상업성이 높아지고 군사 정찰용 저궤도 소형위성이나 초소형 위성 등을 다량으로 발사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