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양기반 기자] 국방부가 전국에서 ‘미확인 비행물체(UFO)’ 소동을 일으켰던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발사 장면을 2일 공개했다.
국방부는 지난해 12월 30일 안흥 국방과학연구소(ADD) 종합시험장 인근 해상에서 진행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2차 시험비행 발사 영상을 공개하고 지난해 3월 1차 시험비행 때보다 진일보한 성공을 거뒀다고 평가했다.
국방부 전하규 대변인은 “군 당국이 미사일 등 무기 체계나 우주발사체를 야간에 시험 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시민들이 겪은 혼란에 대해선 “많은 시민이 목격할 것으로 예상하지 못했으며 기상 상황과 안전 문제로 불가피했다”고 해명했다.
지난해 12월 30일 오후 국방과학연구소(ADD) 안흥 종합시험장에서 진행된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발사 모습. (영상=국방부 제공)
국방부가 공개한 영상에는 우주발사체 발사 순간부터 페어링과 단 분리, 발사체가 우주 궤도에 진입하는 장면 등이 담겼다.
우주발사체가 발사된 뒤 상공에서 분리된 위성 보호용 덮개인 페어링에는 ‘대한민국’ 네 글자가 선명하게 보였다.
이번 시험에서는 2∼4단 연소뿐 아니라 페어링 분리, 단 분리, 상단부 자세제어, 더미(모의) 위성 탑재체 분리 등의 검증도 이뤄졌다.
국방부는 더미 위성 분리 검증에 이어 향후 추가적 검증을 완료한 뒤 실제 위성을 탑재해 시험 발사할 계획이며, 2025년까지 500㎏ 초소형 위성을 500㎞ 지구 저궤도에 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국방부는 “우리 군은 고체연료 추진기관과 관련된 기술력·노하우를 바탕으로 소형 위성 또는 다수의 초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우주발사체를 확보해 독자적 우주 기반 감시정찰 능력을 크게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확보된 기술은 민간으로 이전(Spin-off)돼 다양한 우주발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민간을 주축으로 하는 우주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