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송국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의 적은 이란’이라고 공개적으로 발언한 데 대해 나라 안팎으로 파문이 이어지는 가운데 대통령실이 “현재 한-이란 양자관계와는 무관하다”고 긴급 진화에 나섰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6일(현지시간) UAE 아부다비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한 기자 질문에 “우리 장병들을 격려하기 위한 취지의 말씀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UAE가 당면한 엄중한 안보 현실을 직시하면서 열심히 근무하라는 취지에서 하신 발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 중 15일(현지시간) 현지에 파병한 아크부대를 찾아 격려하면서 “UAE의 적은, 가장 위협적인 국가는 이란이고 우리 적은 북한”이라며 “우리와 UAE가 매우 유사한 입장에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파병 부대 명칭인 아크(AKH)가 아랍어로 ‘형제’ 뜻이라는 것을 의식한 듯 UAE를 가리켜 ‘우리의 형제 국가’라고 지칭하며 “UAE의 안보는 바로 우리의 안보”라고 강조하면서 나왔다.
윤 대통령의 이 발언을 두고 대통령이 해서는 안되는 언급을 부적절한 장소에서 느닷없이 꺼내 불필요한 논란을 자초한 외교적 실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당사국인 이란 외무부는 16일(현지시간) “페르시아만 국가들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긍정적 관계 개선에 대해 전적으로 모르는 발언”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국영 IRNA 통신 등에 따르면 나세르 카나니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한국 대통령의 발언은 이란과 UAE를 포함한 페르시아만 연안 국가들의 역사적이고 우호적 관계와, 이들 사이에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긍정적인 발전에 대해 전적으로 모르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란 외무부는 “한국 정부의 최근 입장, 특히 이란과 UAE의 관계와 관련해 외교적으로 부적절한 윤 대통령의 발언을 심각하게 지켜보고 있다”며 “이번 사안에 대한 한국 정부의 설명을 기다리고 있다”고 해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국내에서도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이 “이란은 1970년대 중동 건설 붐 때 연을 맺고 2016년 포괄적 파트너십을 채택한 우호협력국”이라며 윤 대통령의 이 발언을 거세게 비판했다.
김현정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에서 “우리나라가 이란을 군사적 위협세력으로 여기고 있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며 “국익을 해치는 외교적 실언”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이란과 긴장감을 키워 UAE에 파견된 아크부대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위험한 발언”이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외교는 적을 줄여가는 것인데 오히려 적을 늘리는 한심한 대통령”이라며 “대통령은 국익을 훼손하고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는 외교 참사를 멈춰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