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회의를 진행하는 정은보 한미방위비분담협상대사(왼쪽)와 미국의 도나 웰튼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대표.(사진=외교부 제공)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회의를 진행하는 정은보 한미방위비분담협상대사(왼쪽)와 미국의 도나 웰튼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대표.(사진=외교부 제공)

[국방신문=송국진 기자]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 1년 넘은 줄다리기 끝에 타결됐다. ‘한미동맹 강화’를 내세운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46일 만이다.

외교부는 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한미 양국 협상대표들의 회의 결과 원칙적 합의에 이르렀다고 8일 밝혔다.

외교부는 “양측은 내부보고 절차를 마무리한 후 대외 발표 및 가서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정부는 조속한 협정 체결을 통해 1년 이상 지속돼 온 협정 공백을 해소하고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번영의 핵심축인 한미 동맹과 연합방위태세 강화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그러나 분담금 총액, 인상률, 협정 기간 등 합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이번 합의 내용의 공식 발표와 가서명 등은 미국의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이달 중순 방한 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블링컨 장관과 오스틴 장관은 15∼17일 일본을 방문한 뒤 1박 2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양측의 합의는 그동안 가서명과 정식서명을 거쳐 한국 국회의 비준동의를 받았다.

미 국무부도 7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양국이 방위비분담 협상에서 원칙적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합의안에는 한국 측의 ‘의미있는 증액’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한 외교관을 인용, 한미가 방위비 분담금 협상을 타결했다고 전하면서 새 합의가 2025년까지 유효할 것이라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6년짜리 합의라고 전했다.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회의에서 정은보 한미방위비분담협상대사(오른쪽)와 미국 도나 웰튼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대표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외교부 제공)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회의에서 정은보 한미방위비분담협상대사(오른쪽)와 미국 도나 웰튼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대표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외교부 제공)

앞서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대사는 미 워싱턴DC를 찾아 5일부터 이날까지 도나 웰튼 미 국무부 방위비분담 협상대표가 이끄는 협상단과 협의를 벌였다.

정 대사는 당초 이틀간 회의를 하고 이날 귀국 예정이었으나 협상이 이날까지로 하루 늘어나면서 양측이 협상 타결을 목표로 막판 조율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한미는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달 5일 화상으로 8차 회의를 한 뒤 이번 9차 회의를 가졌다. 양측 대면 회의가 이뤄진 건 지난해 3월 로스앤젤레스 회의 이후 1년 만이다.

당시 로스앤젤레스 회의에서 한미는 한국의 2020년 분담금을 2019년의 1조389억원에서 13% 인상하는 방안에 잠정 합의했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폭 인상을 고수하면서 결렬됐다.

한미는 2019년부터 2020년 주한미군 주둔 분담금 결정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이 5배 인상을 압박하면서 협상이 표류하기 시작했다.

이후 한미 방위비 협상은 2019년 말 SMA 유효기간이 종료된 뒤 한국의 13% 인상안와 미국의 수정된 50% 인상안 사이에서 사실상 진척을 보지 못했다.

앞서 CNN방송은 지난달 11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한미가 방위비 분담금을 기존보다 13% 인상하는 다년 계약에 합의할 가능성이 크며 몇 주 안에 최종 합의가 나올 수 있다”고 보도했다.

CNN은 “최종 합의에는 또한 한국 국방예산의 의무적인 확대와 한국이 특정 군사장비를 구매하겠다는 합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고 전했다.

CNN 보도에 대한 미 국무부의 공식 반응과 한국 외교당국의 입장을 감안할 때 한미는 늦어도 3월까지는 합의문에 서명할 것으로 관측됐다.

한편, 미국은 지난달 일본과 주일미군 주둔 분담의 근거가 되는 방위비특별협정을 현행 수준에서 1년 연장하기로 하고 일본이 2021년 4월부터 1년간 2017억엔(약 2조1000억원)을 부담하기로 합의했다.

저작권자 © 국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