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신문=한상현 전문기자] 국방부가 청해부대 34진 장병들의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와 관련해 22일부터 대대적인 감사에 착수한다.
승조원 301명 가운데 270명이 감염돼 임무를 중단한 채 중도 귀환하는 사상 초유의 일이 터진 것과 관련한 각종 의혹을 해소하고 대책을 마련한다는 취지다.
감사 착수에 따라 방역 대응에 문제가 드러난 기관이나 담당자에 대한 책임 소재가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감사 결과에 따라 관련자의 문책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방부는 22일부터 내달 6일까지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와 관련해 각 기관의 대응이 적절했는지 등에 대해 감사에 착수한다고 21일 밝혔다.
감사 대상 기관은 청해부대에 대한 작전지휘와 부대 관리 책임을 맡는 합동참모본부와 해군 작전사령부, 해군본부, 국방부 관련 부서, 국군의무사령부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항 기간 일부 승조원이 함정을 이탈했는지 여부도 감사 범위에 포함된다. 다만, 청해부대 34진 부대원들에 대해서는 격리 중인 점을 고려해 일단 비대면 방식으로 설문 조사를 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이번 감사에서 파병 준비 단계부터 집단감염에 대한 초기대응의 적절성, 지휘보고 체계와 방역지침 운영 등 이번 사태와 관련해 전반적인 의혹을 규명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먼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어떤 경로로 문무대왕함에 유입됐는지 청해부대원 등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박재민 국방부 차관은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서 무단이탈 가능성에 대해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 “차후 정확하게 조사를 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함정이 기항할 경우 평소 같으면 외출이 허용되지만 코로나19 확산 이후 필수 임무 요원 외에 다른 장병의 하선은 금지돼 있다.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은 지난달 28일부터 7월 1일까지 3박 4일간 군수품 적재를 위해 아프리카 해역 인접국에 기항했다. 당시 10여 명이 군수품 적재를 위해 육상에 내렸다.
오리무중인 ‘감염경로’를 확인하는 것 외에도 40도가 넘는 고열 증세를 보이는 장병에게 감염병을 의심하지 않고 감기약만 처방한 이유와 국방부의 지침을 어기고 감염 여부를 즉각 판별할 수 없는 ‘신속항체검사’ 키트만 챙겨 간 경위도 규명해야 할 부분이다.
특히 함정에 군의관이 두 명이나 있었고, 또 함정에 있는 엑스레이 장비로 촬영하고 국군의무사령부까지 원격으로 진료에 동참했는데도 단순 감기로 오인하고 적절한 조처를 하지 않아 결국 집단감염으로 번졌다.
군 당국은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와 관련해 역학조사와 함께 진상조사에 착수해 책임 소재를 규명할 방침이지만, 총체적 부실이 확인된 만큼 군 수뇌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문책론’도 불거지고 있다.
야당인 국민의힘은 국방부 감사를 통해 특정 개인을 희생양 삼는 ‘꼬리자르기식’ 처벌보다는 국정조사와 함께 서욱 국방부 장관 해임을 요구하고 나선 상황이다.
한편, 청해부대 34진이 두고 온 문무대왕함은 이날 아프리카 현지에서 출항했다.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50일 동안 2만4000㎞를 항해해 9월 12일쯤 경남 진해항에 도착한다.
